본문 바로가기

돈의 역사

닉 리슨과 베어링스 파산: 영국 최대의 금융 스캔들을 이해하다

베어링스 은행(Baring Bank)의 파산은 1995년 금융 역사의 가장 큰 스캔들 중 하나로 기록되었습니다. 이 파산의 주요 원인은 그 시절의 "고래"로 불리던 닉 리슨(Nick Leeson)의 일련의 거래 실패가 주된 이유였습니다. 그렇다면 닉 리슨은 어떻게 베어링스 은행의 파산으로 이어졌을까요? 이 글에서는 이 스캔들의 배경과 리슨의 역할, 그리고 베어링스 은행의 파산에 이르게 된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베어링스 은행의 역사와 성장
  • 1762년에 설립된 영국 최고 권위의 투자은행
  • 그 당시 국제 거래와 금융 업무의 선두주자
  • 영국 왕실 및 유럽 귀족들과의 긴밀한 관계

 

  1. 닉 리슨의 등장
  • 1992년에 베어링스 은행에 합류, 싱가포르 지사에서 투자 거래 담당
  • 그의 거래 스타일은 공격적이고 고위험 선호

 

  1. 리슨의 불법 거래
  • 1994년부터 리슨은 베어링스 은행 내부적으로 금지된 거래를 시작
  • 그는 손실을 충당하기 위해 더 많은 불법 거래를 저지르게 됨
  • 그의 거래 실패로 인해 은행의 손실 금액은 점점 증가

 

  1. 베어링스 은행의 파산
  • 1995년 2월, 리슨의 불법 거래로 인한 손실이 공개되면서 은행의 파산이 발표됨
  • 은행의 총 손실은 약 8억 3천만 파운드(당시 환율로 약 1조 4천억 원)
  • 영국 금융 역사상 최대 규모의 파산 사건

 

  1. 리슨의 추락
  • 1995년 3월, 닉 리슨은 독일에서 체포됨
  • 싱가포르 법원에서 6년 6개월의 형을 선고받음
  • 1999년 조건부 석방, 이후 금융 강연자 및 저자로 활동

 

  1. 닉 리슨의 불법 거래 상세
  • 리슨은 "arbitrage"라는 전략을 사용해 일본 주식시장에서 선물 거래를 진행
  • 선물 거래란 미래의 특정 날짜에 특정 가격으로 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거래로, 닉 리슨은 이를 활용하여 이익을 얻으려 했음
  • 그러나 일본의 대지진 등으로 인해 주가가 급락하면서 그의 거래는 실패하게 됨

 

  1. 손실 숨기기 위한 리슨의 행동
  • 리슨은 'Error Account 88888'이라는 가상의 계좌를 만들어 손실을 숨김
  • 이 가상 계좌를 통해 손실을 은행의 임원들과 감사들로부터 숨기는데 성공
  • 하지만 손실이 점점 눈덩이처럼 커져 결국 감출 수 없게 됨

 

  1. 베어링스 은행 파산의 여파
  • 베어링스 은행의 파산은 금융 업계에 충격을 안겼으며, 금융 규제 강화를 촉구하게 됨
  • 이 사건 이후 영국 정부와 금융당국은 투자은행의 리스크 관리와 내부 통제 시스템을 강화하는데 주력함
  • 또한, 이 사건은 세계 금융사에 큰 영향을 미쳐 금융 거래의 투명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됨닉 리슨과 베어링스 은행 파산 사건은 금융 거래의 불완전한 투명성과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역사적인 사례입니다. 이 사건으로부터 얻은 교훈은 현재의 금융 업계와 규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금융 거래자들이 과도한 위험 추구와 불법 거래로 인한 파국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참고로 Arbitrage 전략은 금융 시장에서 동일한 자산 또는 매우 비슷한 자산의 가격 차이를 이용하여 이익을 얻는 전략입니다. 이 방법은 가격 불일치를 찾아내고, 동시에 저렴한 시장에서 사고 비싼 시장에서 팔아 이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rbitrage는 리스크 없는 이익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이상적으로는 거래를 완료하면 손실 위험이 없어야 합니다.
선물 거래에서의 Arbitrage 전략은 두 가지 주요 형태가 있습니다.

 

  1. Cash-and-carry Arbitrage: 이 전략은 기본 자산(주식, 채권 등)의 현물가와 선물가 사이의 가격 차이를 활용합니다. 가격 차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투자자는 기본 자산을 사고 동시에 동일한 기본 자산의 선물 거래를 공매도(short)합니다. 선물 계약이 만기가 되면 투자자는 기본 자산을 팔아 공매도를 청산하고, 거래에서 발생한 차익을 얻습니다.
  2. Inter-market Arbitrage: 이 전략은 동일한 선물 계약이 서로 다른 거래소에서 다른 가격으로 거래될 때 발생하는 가격 차이를 활용합니다. 투자자는 낮은 가격의 거래소에서 선물 계약을 사고, 동시에 높은 가격의 거래소에서 같은 선물 계약을 공매도하여 차익을 얻습니다. 이익은 가격 차이에서 발생합니다.

 

닉 리슨의 경우, 그의 Arbitrage 전략은 일본 주식시장에서의 선물 거래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는 시장의 가격 불일치를 찾아내고 이익을 얻으려 했지만, 예기치 않은 시장 변동으로 인해 거래가 실패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리슨은 엄청난 손실을 입게 되고, 베어링스 은행은 결국 파산으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